콜백함수란 인자값으로 전달받은 함수를 뜻한다.
인자값으로 전달받은 콜백함수는 매개변수로 함수내부에서 필요할때 호출이 가능하다.
function func(a, b, callback) {
console.log(a,'+',b ,'= 의 값은?');
callback(a, b);
}
function func2(a, b) {
console.log(a + b);
}
func(1, 2, func2); // 1 + 2 = 의 값은?
// 3
예제를 살펴보면
매개변수를 a , b , callback을 사용하는 func 라는 함수를 생성하고
매개변수 a, b 를 더해서 출력해주는 func2라는 함수를 생성한다.
func함수에 인자값으로 1 , 2 , func2 를 넘겨주면
callback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a,b 매개변수를 더해서 출력해주는 func2함수를 func 함수 내부에서 호출을 할수있다.
여기서 func2가 콜백함수를 의미한다.
한 해외커뮤니티에서는 callback 보다는 call at the back 으로 생각하면 훨씬 이해가 쉬울거라는 얘기가 있다.
어떠한 함수를 호출한 후 호출된 해당함수 내부에서 어떠한 동작을 지시하는 함수라고 생각하면 될것같다.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클로저란? (0) | 2022.09.10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호이스팅이란? TDZ Temporal Dead Zone (0) | 2022.09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