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-Native

[리액트 네이티브] 맥북 Mac os 맥환경 m1 m2 React native CLI 리액트 네이티브 환경 구축 하기

살다보니개발자 2022. 8. 21. 19:59

React native CLI 환경 구축하기

 

1) Rosetta2  설치하기

 

Rosetta 2를 사용하면 Intel 프로세서가 장착된 Mac용으로 제작된 앱을 Apple Silicon이 장착된 Mac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Rosseta가 필요한 앱을 처음 열때 Rosetta를 설치하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. 설치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.

 

아래는 혹시나 해당 설치메시지가 뜨지 않으신분들을 위한 수동 설치 하는법 입니다.

 

//라이센스 동의가 필요
softwareupdate --install-rosetta

//라이센스 자동으로 동의
/usr/sbin/softwareupdate --install -rosetta --agree-to-license

 

로제타 관련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기

 

 

 

 

 

 

2) Xcode 설치하기

 

Xcode란 ios 앱을 만들기 위한 ide 입니다. ReactNative 개발을 위해 Appstore 에서 검색 후 설치 하시면 되겠습니다.

참고로 설치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ㅜㅅㅜ

 

 

 

3) Homebrew 설치하기

 

Homebrew를 설치하면 Mac 환경에서 한줄의 명령만으로도 까다로운 절차 없이 패키지 설치 및 제거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.

 

터미널을 열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Homebrew를 설치해 줍니다.
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
설치가 완료되면 명령어를 통해 설치가 잘되었는지 확인 해줍니다.

 

brew --version

설치가 잘되었으면 아래 처럼 나옵니다.

 

brew 명령어시 

zsh: command not found: brew

가 나온다면

https://livealife.tistory.com/23

 

zsh: command not found: brew

macos에서 homebrew 설치를 했는데, zsh: command not found: brew 오류가 뜨는경우, homebrew가 /usr/local/~ 이 아닌 /opt/homebrew/ 에 설정되어있어 그렇다. 해결방법은 터미널에 vi ~/.zshrc 입력 후 i 누른 후 export PATH

livealife.tistory.com

해결법은 위 링크에 있습니다 :)

 

 

4) Node.js 설치하기

 

Homebrew로 쉽게 설치가 가능합니다.

 

brew install node

설치가 완료되었으면 node와 npm이 설치가 잘되었는지 확인해줍니다.

 

node -v

npm -v

 

 

 

 

 

5) Watchman 설치하기

 

watchman은 파일 변경 추적을 위한 툴 입니다.

마찬가지로 Homebrew를 이용해 설치해줍니다.

 

brew install watchman

설치가 완료되면 버전을 확인해줍니다.

 

watchman -v

 

 

 

 

 

 

6) React Native CLI 설치하기

 

npm install -g react-native-cli

설치가 완료되었으면 버전을 확인 해줍니다.

react-native --version

 

 

 

 

 

7) Terminal 및 Xcode Rosetta를 사용하여 열기 설정

 

응용 프로그램 -> 터미널 , Xcode 우클릭 -> 정보가져오기 후

 

Rosetta를 사용하여 열기를 체크 해줍니다.

 

 

 

8) cocoapods 및 ffi 설치하기

sudo gem install cocoapods
sudo gem install ffi

 

 

 

 

 

9) Xcode Command Line Tools 설정

 

Xcode 실행후 상단 Xcode -> Preferences -> Locations 탭에 들어간후

 

Command Line Tools 를 지정해줍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여기까지 Ios 세팅은 끝났습니다. 안드로이드 세팅은 짧게나마 다른 게시물에 기록할 예정입니다.

 

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남겨 주세요 :)